그중에서도 그동안 계속 써보고 싶던 것들 중에 하나가 바로 Trac이다. Trac은 Wiki와 이슈트래킹을 합쳐놓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이고 최근에 들어와서 많이들 사용하고 있고 현재 이 블로그도 운영되고 있는 Textcube도 Trac을 이용해서 개발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다.

꼭 wiki가 붙어있지는 않더라고 이런 형태의 툴들은 다양하게 있기는 하지만 난 왠지 trac가 마음에 들었다. 항상 써보려고 했지만 나도 제대로 사용할 줄 몰랐기 때문에 하지 못하고 있다가 이번에 프로젝트 개발이 들어가기 전에 준비할 기간이 약간 있었기 때문에 그 틈을 이용해서 trac을 설치하고 준비했다.
여태까지는 그냥 소스저장용으로정도만 쓰고 있다가 trac이랑 SVN은 연동해서 commit진행사항들을 웹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좋고 개발툴에서 봐도 되기는 하지만 웹상에서 소스를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것도 좋다. trac의 처리해야할 일의 단위인 ticket등록을 통해서 프로젝트의 해야할 일들을 체크할 수 있고 해야할 일들의 진행사항을 타임라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여러가지 신경써야할 점들을 줄일 수 있다. 현재로썬 용도가 없어서 wiki를 쓰고 있지는 않지만 이것만으로도 나에겐 충분히 좋아보인다.
물론 trac은 팀 멤버간에 협업을 위한거인데 나는 지금 혼자서 프로젝트를 해야해서 혼자서만 쓰고 있지만 사용법을 익히기에는 아주 적절한 타이밍이다. 솔직히 이번에 Mylyn까지 연동해서 이클립스에서 바로 할일관리를 하려고 했는데 막상하려니까 좀 만만치 않은 작업이길래 개발환경때문에 개발이 늦어질 수는 없으니까 Mylyn은 아쉬워도 다음기회로 미루기로 했다.
이제 빌드자동화쪽만 해보면 되나... ㅎㅎㅎㅎㅎ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