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 관련
- UI 런타임으로서의 React : React를 단순히 UI 라이브러리가 아니라 UI 런타임이라는 관점에서 React 코어 개발자인 Dan Abramov가 설명하는 글이다. 이는 단순히 브라우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UI를 표현하기 위한 호스트 트리를 생성함으로써 단순히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 문서 등 원하는 UI를 만들기 위해서 React가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는데 초보자를 위한 글은 아니지만, React가 여러 플랫폼 사이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고자 하는지를 잘 이해할 수 있는 글이다. 전에 영어로 읽다가 너무 길어서 포기했는데 번역이 되어서 쉽게 읽을 수 있었다.(한국어)
- Google AMP lowered our page speed, and there's no choice but to use it : AMP와 아닌 사이트를 비교했을 때 글쓴이의 사이트는 AMP가 오히려 속도가 더 느렸음에도 구글이 웹을 거의 소유하고 있어서 사이트 제공자가 구글을 무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AMP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글이다. AMP의 제약이 너무 심하고 사이트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고 싶어도 AMP 컴포넌트가 아니면 할 수가 없고 오픈소스여도 사실상 구글의 입김이 가장 세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의견을 제시해도 제대로 적용이 되고 있지 않다고 한다.(영어)
- Code caching for JavaScript developers : V8에서 코드 캐싱이 동작하는 방법과 캐싱을 활용하기 위해 개발자들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캐싱을 더 잘 이용하려면 코드나 URL, 혹은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조건을 바꾸지 않는 것이 좋고 상황에 따라 라이브러리를 분리하거나 합쳐야 할 수도 있고 1KiB 이상만 캐싱하므로 작은 스크립트를 합치고 즉시 실행 함수 표현식을 사용하면 더 캐싱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영어)
그 밖의 프로그래밍 관련
볼만한 링크
- [연대기] '게임왕' 마이크 모하임, 그 위대한 27년의 기록 : 마이크 모하임이 "실리콘&시냅스"부터 "블리자드"를 만들고 이제 은퇴하기까지 그간의 과정을 정리한 글이다. 꼭 게임을 엄청나게 좋아하지 않더라도 블리자드를 무시할 수 없는데 마이크 모하임이 블리자드와 함께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한 일대기가 정리되어 있어서 재미있는 글이다.(한국어)
- 후배 개발자에게 - 2019년 : 현업에서 오랜 경험을 가지고 지금은 교육자의 길을 걷고 계신 자바지기님이 후배 개발자들이 성장하기 위해서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서 쓴 글이다. SI 개발자들한테 욕먹을 생각으로 "하루라도 빨리 떠나라"라고 하신 것처럼 나도 욕먹을까 봐 얘기하진 못했지만,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내용은 거의 같다. 구체적인 실천사례보다는 방향을 위주로 얘기하고 있지만, 개발자의 진로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면 한번 읽어볼 가치가 있는 글이다.(한국어)
- 페이스북의 '좋아요'는 어떻게 프로파일링에 사용되었는가 : 페이스북 - 케임브리지 아날리티카 스캔들은 정리한 How Cambridge Analytica’s Facebook targeting model really worked - according to the person who built it를 번역한 글이다. 데이터 분석 쪽은 잘 모르지만, 이 스캔들의 핵심인 코건과 메일을 주고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페이스북 사용자의 좋아요를 넷플릭스의 추천알고리즘과 유사한 데이터 차원 축소 방식으로 분석했다고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정당 지지 여부를 85%까지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한국어)
- Stack Overflow Developer Survey Results 2019 : Stack Overflow가 매년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이 결과를 통해 Stack Overflow의 사용자들이 지역이나 성별, 선호 기술, 연차 등 아주 자세한 설문 결과의 통계를 볼 수 있다.(영어)
- How The Big Five Tech Companies Make Their Money, Visualized : Apple, Amazon, Facebook, Alphabet, Microsoft가 주 수익이 어디서 나오는지를 정리한 글이다. 애플은 아이폰에서, 아마존은 온라인스토어에서 반 이상의 이익을 얻고 있고 페이스북과 알파벳은 광고에서 대부분의 이익을 얻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의 수익이 가장 크지만 비교적 고르게 수익구조가 나누어져 있다.(영어)
- 100주년 기념 서체 : 윤디자인에서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서 4종의 무료 폰트를 공개했다.(한국어)
IT 업계 뉴스
프로젝트
버전 업데이트
- Node.js v11.14.0 (Current) :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릴리스 공지
- mocha v6.1.3 : JavaScript 테스트 프레임워크, 변경사항
- jQuery v3.4.0 : JavaScript 라이브러리, 릴리스 공지
- pm2 v3.5.0: Node.js 프로세스 관리자, 변경사항
- nest.js v6.1.0 : Node.js 웹 프레이워크, 변경사항
- Asciidoctor.js v2.0 : Asciidoctor의 JavaScript 버전, 릴리스 공지
- Rollup v1.10.0 : JavaScript 번들러, 변경사항
- Django v2.2 : Python 웹 프레임워크, 릴리스 공지, Django 2.2 LTS 릴리스와 주요 변경 사항 참고.
- Nomad v0.9 : HashiCorp의 배포도구, 릴리스 공지
- Grafana v6.1 : 매트릭 대쉬보드, 릴리스 공지
- Elastic Stack v7.0.0 : 엘라스틱 스택, 릴리스 공지
- CoreDNS v1.5.0 : DNS, 서비스 디스커버리, 릴리스 공지
- Rust 1.34.0 : 프로그래밍 언어, 릴리스 공지
- Kotlin v1.3.30 : JVM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 릴리스 공지
- Atom v1.36 : 에디터, 릴리스 공지
- Emacs v26.2 : 에디터, 릴리스 공지
- ember v3.9.0 : JavaScript 프레임워크, 변경사항
Outsider
2019/04/15 23:55
2019/04/15 23:5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