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 관련
- How do I GraphQL? : GraphQL에 대해서 사람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GraphQL은 안전한가? 서버를 구축하기 쉬운가? Angular, React, Ember 등과 함께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가에 대한 대답을 정리한 글이다.(영어)
그 밖의 프로그래밍 관련
- Building HackerWeb for Android : React Native를 이용해서 해커뉴스 iOS 앱을 3월에 릴리즈 한 뒤에 안드로이드로 포팅해서 내놓은 과정을 설명한 글이다. 거의 변경 없이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에서 실행했을 때 생각보다 많이 깨지지 않았으면 버그가 좀 있었지만, 로직은 대부분 잘 돌아갔기 때문에 대부분 시간은 안드로이드에 맞추는 UI 작업에 들어갔다. 그래서 저장소 이름도 hackerweb-ios에서 hackerweb-native로 변경했다. React Native에 관해 관심이 많이 있지만, 안드로이드에 관한 내용이 많지 않아서 궁금했는데 그 궁금함을 많이 해결해 주는 글이다.(영어)
- 리액트 네이티브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하기의 장단점 : 인썸니아라는 회사에서 React Native로 앱을 개발한 후기를 공유한 내용이다. 기술적으로 자세한 내용은 아니지만, React Native가 갖는 장단점을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서 React Native를 고민하고 있다면 비교할 관점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내용이다.(한국어)
- 서버 비용을 70%나 줄인 온디맨드 리사이징 이야기 : VCNC가 비트윈 서비스에서 S3에 엄청나게 많이 쌓여 이미지 관련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최적화한 내용이다. 온디맨드로 리사이징을 하고 WEBP를 사용하는 등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해서 효율적인 접근방법을 고민하고 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경해 나간 과정과 결과가 잘 나와 있다.(한국어)
- Real World Microservices: When Services Stop Playing Well and Start Getting Real : 트위터에서 5년간 인프라 엔지니어로 일한 사람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좋은 접근 방법이지만 신제로 운영할 때는 확장성이나 유연성 등에서 어려움이 있는데 이를 RPC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설명한 글이다. 회사의 제품을 홍보하는 느낌이 꽤 있기는 하지만 마이크로서비스에서의 어려운 점과 해결에 대한 접근 방법을 잘 설명해서 흥미롭게 읽었다.(영어)
IT 업계 뉴스
- Introducing unlimited private repositories : GitHub은 private 저장소의 개수를 몇 개 사용하냐에 따라 과금을 하고 있었는데 앞으로는 private 저장소는 무한대로 생성할 수 있고 협업하는 사람 수에 따라서 과금하겠다고 한다. 이에 따라 $7 개인 유료사용자는 무한대로 private 저장소를 만들 수 있는데 유료 Organization 사용자는 최초 5명까지는 $25이고 추가 한 명당 $9를 내야 한다. 지금도 새 정책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지만, 기존의 Organization 유료 정책도 1년은 계속 사용할 수 있다.(영어)
볼만한 링크
프로젝트
버전 업데이트
Outsider
2016/05/16 23:29
2016/05/16 23:29
잘보고 갑니다~
녜!